[인문] 접사는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 중 어디에 속한다고 보아야 하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22:02
본문
Download : [인문] 접사는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 중 어디에 속한다고 보아야 하나.hwp
이에 대한 입장을 살펴보고 현행 학교 문법의 접사 분류에 상대하여 알아보자. ① 접사의 형태소 분류 시 결점 형태소의 의미를 어휘적 의미와 문법적 의미로 나눌 때 문제가 되는 것은 접사에 대한 것이다.
인문 접사는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 중 어디에 속한다고 보아야 하나
[인문] 접사는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 중 어디에 속한다고 보아야 하나
![[인문] 접사는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 중 어디에 속한다고 보아야 하나-1155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C%A0%91%EC%82%AC%EB%8A%94%20%EC%8B%A4%EC%A7%88%20%ED%98%95%ED%83%9C%EC%86%8C%EC%99%80%20%ED%98%95%EC%8B%9D%20%ED%98%95%ED%83%9C%EC%86%8C%20%EC%A4%91%20%EC%96%B4%EB%94%94%EC%97%90%20%EC%86%8D%ED%95%9C%EB%8B%A4%EA%B3%A0%20%EB%B3%B4%EC%95%84%EC%95%BC%20%ED%95%98%EB%82%98-1155_01.gif)
![[인문] 접사는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 중 어디에 속한다고 보아야 하나-1155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C%A0%91%EC%82%AC%EB%8A%94%20%EC%8B%A4%EC%A7%88%20%ED%98%95%ED%83%9C%EC%86%8C%EC%99%80%20%ED%98%95%EC%8B%9D%20%ED%98%95%ED%83%9C%EC%86%8C%20%EC%A4%91%20%EC%96%B4%EB%94%94%EC%97%90%20%EC%86%8D%ED%95%9C%EB%8B%A4%EA%B3%A0%20%EB%B3%B4%EC%95%84%EC%95%BC%20%ED%95%98%EB%82%98-1155_02_.gif)
![[인문] 접사는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 중 어디에 속한다고 보아야 하나-1155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C%A0%91%EC%82%AC%EB%8A%94%20%EC%8B%A4%EC%A7%88%20%ED%98%95%ED%83%9C%EC%86%8C%EC%99%80%20%ED%98%95%EC%8B%9D%20%ED%98%95%ED%83%9C%EC%86%8C%20%EC%A4%91%20%EC%96%B4%EB%94%94%EC%97%90%20%EC%86%8D%ED%95%9C%EB%8B%A4%EA%B3%A0%20%EB%B3%B4%EC%95%84%EC%95%BC%20%ED%95%98%EB%82%98-1155_03_.gif)


접사는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 중 어디에 속한다고 보아야 하나 요약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순서
접사는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 중 어디에 속한다고 보아야 하나 요약 현재 학교 문법에서 접사는 형식 형태소로 인정되고 있다아 하지만 접사 중에는 어휘적 의미와 문법적 의미 중 어느 하나의 뚜렷한 성격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들이 있어 이들의 구분이 모호하다. 어휘의 의미가 단독적으로 실질 의미를 가지고 있음에 비해서, 접사의 의미는 어근이 실질 의미를 덧붙여 주는 보조적 역할을 할 뿐이라는 것이다. -문법적 의미로서의 결점 조사나 어미는 문장 component들 간의 문법 관계를 나타내는 것임에 비해서, 접미사 ‘-이-’는 그런 기능을 하지만, 접두사 ‘덧-’은 전현 그런 기능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 문제 역시 어느 것이 옳다고 定義(정의)하기 보다는 어떤 선택을 해야 가장 합리적일 수 있는지 생각해봐야 한다. -어휘적 의미로서의 결점 ‘덧-’과 ‘-이-’가 가지고 있는 더함, 피동이라는 문법적 의미보다는 어휘적 의미에 가깝다. 그러나, 이 의미들이 일반 어휘들이 가지고 있는 의미와 동일하지는 않아 보인다. ㉡ 우세한 opinion 일단, 접사는 문법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보는 opinion이 우세하다. 이는 접사의 의미와 개별 어휘의 의미는 차이가 있다는 말이다. ㉠ 문제제기 ‘덧붙여서’에서 ‘덧-’과 ‘-이-’는 각각 접두사와 접미사로서, 이들이 갖고 있는 의미가 어휘적 의미인지 문법적 의미인지 구분이 잘 되지 않는다. ㉢ 결론 따라서 접사는 넓은 의미에서 형식 형태소에 해당 한다고 말할 수 있다아 결국 ‘덧붙여서’의 ‘덧-’, ‘-이-’는 문법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형식 형태소로 볼 수 있다아 이 역시 접사의 본질적인 속성이 어근에 덧붙는 교착적인 property(특성)임을 보여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아 ② 학교 문법에서의 접사 분류 (형식 ...
접사는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 중 어디에 속한다고 보아야 하나 요약 ...
Download : [인문] 접사는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 중 어디에 속한다고 보아야 하나.hwp( 35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