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 주 민 중 항 쟁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1 23:09
본문
Download : 광 주 민 중 항 쟁.hwp






1. 광주민중항쟁의 배경
1)10.26사태
◎ 10.26사태의 정치적 성격
- 10.26사건은 기본적으로 유신체제의 지배집단과 국민사이의 대립관계에 의해 야기된 정 치적 돌발사태
- 유신체제에 대한 국민, 특히 지식인층의 불만이 날로 고조되어온 1970년대의 사회적 분 위기는 변혁이 불가피한 상황
- 유신체제가 중대한 위기에 봉착
1978년 12월 12일 제 10대 국회의원 총선->공화당 31.7% vs 신민당 32.8%
- 김영삼 / 김대중의 연합세력이 신민당의 지도부로 나섬으로써 유신정권에게는 심각한 위 기를 조성
◎ YH사건과 김영삼 총재의 의원직 제명
- 신민당사 봉제업체인 YH 여자종업원 200명이 몰려와 기업주의 폐업에 반발하여 폐업조 치 철회농성을 벌임
- 공권력 YH여공과 신민당 간부 및 총재 김영삼 무差別 연행
- 신민당 분열공작을 시도
8월 13일 윤종완 등 신민당 원외지구당 위원장 3명이 ‘신민당 김영상 총재와 부총재 전원 의 직무집행정지 가처분 신청
- 9월8일 서울민사지법은 앞의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여 신민당 총재단의 직무집행을 정지
- 뉴욕타임즈와 인터뷰를 빌미로 김영삼 국회의원직에서 제명
“미 카터 행government 의 박정희 정권에 대한 지원을 끊으라!”
◎ 유신체제 붕괴의 전주곡, 부마민중항쟁
- 10월 16일 “유신철페” “독재타도”라는 구호아래 부산대학교 학생시위로 처음
- 1000여명의 학생들로 교문 앞에 진을 치고 있던 경찰 저지선을 돌파
- 오후에는 남포동 등 부산일대로 진출, 시위전개
- 부산시민(市民)들의 열렬한 환호와 참여 속에서 부산대생의 중심으로 유신반대 시위대는 17일 새벽 1시까지 부산시내 11개 파출소를 파괴하는 등 마치 대대적인 대중봉기 점화
- 17일 부산대에 휴교령
- 동아대 학생들이 가두로 진출하여 시위에 합류
- 18일 0시를 기해 부산에 계엄령이 선포된다는 유신정권의 발표에도 불구하고 남포동 일 대의 시민(市民),학생 시위대는 “유신…(생략(省略))
광주민중항쟁발제문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다. 광주민중항쟁발제문 , 광 주 민 중 항 쟁법학행정레포트 ,
Download : 광 주 민 중 항 쟁.hwp( 54 )
설명
,법학행정,레포트
광주민중항쟁에 대한 입니다.광 주 민 중 항 쟁
광주민중항쟁에 대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