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소설을활용한다文化(문화)교육의예)우리나라다文化(문화)가정자녀와이주노동자가정현실의이해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2 07:48
본문
Download : 한국현대소설을활용한다문화교육의예)우리나라다문화가정자녀와이주노동자가정현실의이해교육.hwp
완득이에게 특별한 사건이라면, 담임선생님인 `똥주`를 이해하
게 되었다는 것, 어머니가 누군지 알게 되었다는 것, 여자 친구가 생겼다는 것 정토일 것
이다.
(2) `완득이`
2008년 3월 창비 출간, 237쪽.
도시빈민. 장애인, 이주노동자 등 한국 사회의 어두운 면을 다루고 있지만, 경쾌하고
유쾌한 소설이다.
그렇기 때문에 완득이의 變化(변화)가 더욱 설득력 있게 드러난다. 아버지는 카바레에서 충을 추는 난장이이고, 한 번도 본
적 없는 어머니는 베트남 이주여성이다. 문제아인 완득이는 이주노동자의 인권에 관심 있
는 담임선생님 `똥주`(동주)의 주선으로 어머니를 만나게 되고, 가족의 관념과 사랑을 알게
된다된다.
한국에 靑少年(청소년) 문학이라는 장르의 붐을 일으킬 정도로 중 · 고등학생에게 적합한 소설이다. goal(목표) 를 가지
고 스스로 人生(life)의 주인공이 되는 變化(변화)라고 할 수 있다
학생들에게 이 소설을 읽힐 때 지도해야 할 가장 the gist적인 점은 바로 완득이가…(투비컨티뉴드 )
,감상서평,레포트
한국현대소설을활용한다文化(문화)교육의예)우리나라다文化(문화)가정자녀와이주노동자가정현실의이해교육
레포트/감상서평
한국현대소설을활용한다文化(문화)교육의예)우리나라다文化(문화)가정자녀와이주노동자가정현실의이해교육
다.
설명
%EC%9A%B0%EB%A6%AC%EB%82%98%EB%9D%BC%EB%8B%A4%EB%AC%B8%ED%99%94%EA%B0%80%EC%A0%95%EC%9E%90%EB%85%80%EC%99%80%EC%9D%B4%EC%A3%BC%EB%85%B8%EB%8F%99%EC%9E%90%EA%B0%80%EC%A0%95%ED%98%84%EC%8B%A4%EC%9D%98%EC%9D%B4%ED%95%B4%EA%B5%90%EC%9C%A1_hwp_01.gif)
%EC%9A%B0%EB%A6%AC%EB%82%98%EB%9D%BC%EB%8B%A4%EB%AC%B8%ED%99%94%EA%B0%80%EC%A0%95%EC%9E%90%EB%85%80%EC%99%80%EC%9D%B4%EC%A3%BC%EB%85%B8%EB%8F%99%EC%9E%90%EA%B0%80%EC%A0%95%ED%98%84%EC%8B%A4%EC%9D%98%EC%9D%B4%ED%95%B4%EA%B5%90%EC%9C%A1_hwp_02.gif)
%EC%9A%B0%EB%A6%AC%EB%82%98%EB%9D%BC%EB%8B%A4%EB%AC%B8%ED%99%94%EA%B0%80%EC%A0%95%EC%9E%90%EB%85%80%EC%99%80%EC%9D%B4%EC%A3%BC%EB%85%B8%EB%8F%99%EC%9E%90%EA%B0%80%EC%A0%95%ED%98%84%EC%8B%A4%EC%9D%98%EC%9D%B4%ED%95%B4%EA%B5%90%EC%9C%A1_hwp_03.gif)
%EC%9A%B0%EB%A6%AC%EB%82%98%EB%9D%BC%EB%8B%A4%EB%AC%B8%ED%99%94%EA%B0%80%EC%A0%95%EC%9E%90%EB%85%80%EC%99%80%EC%9D%B4%EC%A3%BC%EB%85%B8%EB%8F%99%EC%9E%90%EA%B0%80%EC%A0%95%ED%98%84%EC%8B%A4%EC%9D%98%EC%9D%B4%ED%95%B4%EA%B5%90%EC%9C%A1_hwp_04.gif)
%EC%9A%B0%EB%A6%AC%EB%82%98%EB%9D%BC%EB%8B%A4%EB%AC%B8%ED%99%94%EA%B0%80%EC%A0%95%EC%9E%90%EB%85%80%EC%99%80%EC%9D%B4%EC%A3%BC%EB%85%B8%EB%8F%99%EC%9E%90%EA%B0%80%EC%A0%95%ED%98%84%EC%8B%A4%EC%9D%98%EC%9D%B4%ED%95%B4%EA%B5%90%EC%9C%A1_hwp_05.gif)
%EC%9A%B0%EB%A6%AC%EB%82%98%EB%9D%BC%EB%8B%A4%EB%AC%B8%ED%99%94%EA%B0%80%EC%A0%95%EC%9E%90%EB%85%80%EC%99%80%EC%9D%B4%EC%A3%BC%EB%85%B8%EB%8F%99%EC%9E%90%EA%B0%80%EC%A0%95%ED%98%84%EC%8B%A4%EC%9D%98%EC%9D%B4%ED%95%B4%EA%B5%90%EC%9C%A1_hwp_06.gif)
Download : 한국현대소설을활용한다문화교육의예)우리나라다문화가정자녀와이주노동자가정현실의이해교육.hwp( 12 )
한국현대소설을활용한다문화교육의예)우리나라다문화가정자녀와이주노동자가정현실의이해교육한국현대소설을활용한다문화교육의예)우리나라다문화가정자녀와이주노동자가정현실의이해교육 , 한국현대소설을활용한다문화교육의예)우리나라다문화가정자녀와이주노동자가정현실의이해교육감상서평레포트 ,
한국현대소설을활용한다文化(문화)교육의예)우리나라다文化(문화)가정자녀와이주노동자가정현실의이해교육
순서
한국 현대소설을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예)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자녀와 이주노동자 가정 현실의 이해교육
목차
* 한국 현대소설을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예
Ⅰ. 김려령의 `완득이`와 한국의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해교육
1. 참고data(자료): 작가 및 작품 紹介
1) 김려령
2) `완득이`
3) `완득이`에 그려진 한국의 다문화 현실
(1) 결혼이주여성의 문제
(2) 나와 타자의 구분
(3) 결혼이주여성이 느끼는 한국 사회
2. 학습goal(목표)
3. 학습활동
Ⅱ. 김재영의 `코끼리`와 한국의 이주노동자 가정 현실의 이해교육
1. 참고data(자료): 작가 및 작품 紹介
1) 김재영
2) `코끼리`
3) `코끼리`에 그려진, 이주노동자가 겪는 다문화 현실
(1) 정체성
(2) 서열적 인종관
(3) 톨레랑스 또는 문화상대주의의 부족
(4) 의사소통의 부재
2. 학습goal(목표)
3. 학습활동
* Reference List
* 한국 현대소설을 이용한 다문화교육의 예
1. 김려령의 ‘완득이’와 한국의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해교육
1) 참고data(자료) : 작가 및 작품 소재
(1) 김려령
1971년 서울 출생.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
이야기는 주인공인 `나`가 서술한다. 한마디로 누구나 좋아할 만한, 다문화교육을 위해서라도 읽을 만한 재
미있는 소설이다.
주인공은 완득이이고 고1이다. 특별한 사건은 없다. 그리고 작품 내 세계는 나의 시선으로 그려진다. 이러한 사건을 통해 완득이는 그 누구와도 어울리지 않으며 아무 goal(목표) 없이 사는
소외된 자에서 적어도 주변의 몇 사람과는 어울릴 수 있는 존재로 變化(변화)한다. 2007년 `내 가슴에 해마가
산다`로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 대상, 같은 해 `기억을 가져온 아이`(문학과 지성사)로 마
해송문학상을 수상했고, `완득이`로 제1회 창비靑少年(청소년) 문학상을 받았다. 완득이가 서술자 겸 작중인
물이기에, 문체 또한 마치 고등학생의 글처럼 기발하고 사실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