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안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5 13:42본문
Download : 국가보안법.hwp
1차 개정을 시행조차 못하고 다시 2차 개정을 낸 정부의 의도는 국내외의 인권유린이라는 비난의 목소리를 잠재우기 위함이었다.국가보안법 , 국가보안법법학행정레포트 ,
레포트/법학행정
,법학행정,레포트
Ⅰ. 국가보안법에 대한 문제제기
Ⅱ. 국가보안법의 drawback(걸점) 및 올바른 방향.
1. 국가보안법의 역싸
2. 국가보안법의 drawback(걸점)
3. 국가보안법에 대한 각각의 입장에 대한 비판
-유인물(조선일보)참고, 이슈투데이 참고-
Ⅲ. 나의 conclusion
3) 1, 2차 개정
48년 12월 1일 제정된 국가보안법으로 인해 132개 정당과 사회단체가 해산되고 검거`투옥되었으며 좌익계열이라 하여 처벌받은 군인도 8~9천 명에 이르렀다. 그러나 `반공을 국시의 제1의로 한다`며 무력으로 정권을 탈취한 박정희 군사정권은 반국가단체의 목적수행 활동에 한정하여 처벌했던 국가보안법을 보강하…(투비컨티뉴드 )
순서






국가보안법
국가보안법
Download : 국가보안법.hwp( 70 )
설명
다. 이승만 정권은 이를 예산인상, 시설확대가 아닌 사형제도, 단심제, 보도소 설치 등의 반인권적인 방법을 도입하여 해결하려 하였다.
4) 3차 개정
`보안법 wave`으로도 불리는데, 정치적,경제적 위기를 맞은 자유당 정권이 국민 저항을 탄압하기 위하여, 무술 경관이 법개정을 반대하며 농성중인 야당 의원들을 강제로 몰아내고 1958년 12월 24일 자유당 단독으로 통과시켜 12월 26일 공포했다. 1차 개정은 아무런 이의 없이 통과되었는데 이유는 이승만 정권이 국가보안법 제정 과정에서부터 반대했던 의원들을 국회프락치사건으로 몰아 개정안 심의에 나올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주요 내용을 보면 국가기밀 槪念 확대, 인신혹란죄, 헌법상 기관(대통령, 국회의장, 대법원장 등)에 대한 명예훼손, 증거 능력 문제(고문 등 강제 자백 등도 증거 능력 갖게 하는) 구속적 부심과 보석허가 결정에 대한 검찰의 즉시항고권 등이었다. 사형선고자 대법상고권, 국가보안법 위반자 외 다른 죄와 경합된 경우 심판절차와 선고되었을 때의 집행방법 등을 규정하는 내용이었다. 그리하여 전국의 감옥은 정치적 이유로 탄압받은 양심수로 가득 찼다.
5) 5.16 이후 반공법과 국가보안법
1960년 4월 혁명 뒤 집권한 민주당 정권은 활발해진 진보운동과 통일운동을 막기 위해 `반공법`과 `데모규제법`을 제정하려 했으나, 그리고 국가보안법 개정안을 마련했었으나 민중들의 거센 반대에 부딪혀 이루지 못한 채, 5.16 군사 쿠데타를 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