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thub.co.kr 2013년 2학기 한국희곡론 출석대체시험 core체크 > bithub7 | bithub.co.kr report

2013년 2학기 한국희곡론 출석대체시험 core체크 > bithub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bithub7

2013년 2학기 한국희곡론 출석대체시험 core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00:22

본문




Download : 20132_출석_국문4_한국희곡론.pdf




극작법을 잘 따른 극이나 무시한 극이나, 이들이 제일 잘합니다. 아무리 무거운 세네카의 비극이나 아무리 가벼운 플로터스의 희극도 좋습니다.




(2) 17세기
순서

- 중략 -
한국희곡론,방통대한국희곡론,방송대한국희곡론,한국희곡론출석대체시험
설명

Download : 20132_출석_국문4_한국희곡론.pdf( 89 )


방송통신 > 출석수업대체시험



제 6장 희곡의 유형
시대가 바뀌고 사회가 급변함에 따라 새로운 연극형식에 대한 요구 증가. 봉건사회에서 시민(市民)사회로, 신 본위 사회에서 인간 본위 사회로 전환되기 처음 했다. 비극, 희극, 歷史극. 전원극, 희극적 전원극, 전원적 歷史극, 歷史적 비극, 전원적 歷史적 희극적 비극이거나, 무슨 극인지 알 수 없거나 끝없이 긴 연극도 좋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變化에 부응한 극작가들은 비극이 아닌 ‘진지한 극’을 선호하게 됨. 18세기 프랑스에서는 진지한 극은 ‘드람’이라고 불렀고, 영국에서는 ‘드라마’, 독일에서는 ‘샤우스필’이라 부름. 이러한 용어들은 후에 드라마로 통용, 제3의 형식으로 자리 잡음

(1) 셰익스피어 시대



(3) 18세기

2. 극 형식 구분론
- 출제예상문제 (해설포함)
2013년 2학기 한국희곡론 출석대체시험 core체크

제6장 희곡의 유형
극은 비극과 희극 그리고 제3의 형식인 歷史극과 전원극이 존재하고 있었음. 비극이지도 희극이지도 않은 극 형식은 셰익스피어 이전의 연극형태였던 중세 종교극이었다고 여겨짐. 종교극에서는 고대 그리스 시대와 같은 비극/희극의 엄격한 이분법이 존재하지 않았음


16354_001.jpg 16354_002.jpg 16354_003.jpg 16354_004.jpg 16354_005.jpg
제 6장 희곡의 유형 - 출제예상문제 (해설포함)
비극과 희극에 이은 제3의 양식으로 ‘희비극’이 유행. 극작가들은 주로 비극을 지향했지만 당시의 추세는 점차 정통비극에서 멀어지는 작품형식을 선호하기 처음 했다


① ‘무슨 극인지 알 수 없는 극’이라든가 ‘극작법을 무시한 극’을 언급한 것은 기존의 극작술을 무시한 파격적인 극작품이나 새로운 형태를 시도한 experiment(실험)적인 극작품이 출현할 가능성을 열어둔 것




1. 폴로니우스의 연극 형태론

② 햄릿 2막 2장: 이 세상에서 제일가는 배우들입니다.

다.
전체 41,35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bithub.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