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 아동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2 14:15
본문
Download : 청각장애 아동교육.hwp
난청 (hard…(drop)
순서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청각장애 아동교육.hwp( 53 )
[유아교육학]청각장애
청각장애의 정의와 원인 및 특성을 살펴보고 청각장애 아동교육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필요한 분에게 모쪼록 도움이 되길 빌며, 참고하셔서 좋은 성과 받으시길 바랍니다. ~
1. 청각장애의 定義(정의)
2. 청각장애의 요인
3. 청각의 characteristic(특성)
4. 청각장애아 교육
청각에 있어서의 장애는 교육의 기본 수단으로 사용하는 말을 통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초래하므로 청각장애를 효능적으로 보완하고 아동의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키워 주기 위한 교사의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학업성취뿐 아니라 일반학급에서 또래들과 사회적 통합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우해서도 의사소통의 문제가 대두되며, 동시에 이를 효능적으로 지도해야 하는 교사의 책임도 커지게 된다
청각장애아동들이 외관상으로는 전혀 장애인처럼 보이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다른 장애 영역보다 통합교육이 더 용이할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으나 실제로는 청각장애 아동의 통합교육을 저해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존재하고 있따 그러므로 교사들은 이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적절한 대처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 ~[유아교육학]청각장애 , 청각장애 아동교육인문사회레포트 ,
청각장애 아동교육
다.
둘째는 청력의 손실과 언어능력의 발달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므로 구어의 발달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다.
1) 특수교육진흥법상의 청각장애 定義(정의)
우리나라 특수교육 진흥법에 의하면 청각장애르 지닌 특수교육 대상자는 다음과 같이 定義(정의)된다
(1) 두 귀의 청력 손실이 각각 90데시벨(dB) 이상인 자
(2) 청력 손실이 심하여 보청기를 착용하여도 음성언어에 의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거나 곤란한 자
(3) 일상적인 언어생활 과정에서 청각의 기능적 활용이 불가능하여 일반인과 함께 교육받기가 곤란한 자
위의 定義(정의)를 살펴보면, 두 가지의 관점에서 청각장애를 定義(정의)한 것을 알 수 있따
첫째는 생리학적인 관점으로 소리의 강도를 기준으로 하여 어느 정도 크기의 소리를 들을 수 잇는지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필요한 분에게 모쪼록 도움이 되길 빌며, 참고하셔서 좋은 성과 받으시길 바랍니다.레포트/인문사회






청각장애의 定義(정이)와 원인 및 特性(특성)을 살펴보고 청각장애 아동교육에 마주향하여 정리(整理) 했습니다. 다음의 표는 이와 같은 교육적인 관점을 반영하는 定義(정의)를 제시하고 있따
<표> 청각장애의 용어 및 定義(정의)
청각장애 (hearing loss)
경도에서 최중도에 이르는 청력 손실을 모두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농과 난청이 모두 여기에 속함
농 (deaf)
청력 손실이 심하여 보청기를 착용하고도 청각을 통해 언어적 정보를 주고받지 못하는 사람을 지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