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15총선에 대한 평가와 향후 projec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9 06:21
본문
Download : 4 15총선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hwp
즉 20세기 정치에서는 국민대중은 철저하게 지배와 관리의 대상, 표의 대상으로 될 뿐이었다. 이것이 20세기 한국정치의 현 주소였다.
그러면 20세기 우리사회의 정치의 현주소는 어떠했는가! 지난 50여 년 동안 한국의 정치는 국민대중의 이익을 외면한 채 외세와 기득권세력들의 이익을 수호하기에 바빴고 온갖 정경유착과 부정비리의 온상으로 되어왔다.
the twenty-first century의 정치는 명실상부하게 대중이 정치의 주인으로 되는 대중주체의 정치를 특징으로 하고 민족자주와 민족통합, 민주개혁과 민생안정을 추구하며, 지역주의를 극복하고…(투비컨티뉴드 )
다. 또한 의회는 민의의 전당이 아닌 특권층의 방패막이에 불과했다. up4[1].15총선에대한평가와향후과제 , 4 15총선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4 15총선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hwp( 16 )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1. 4.15 총선의 본질적 성격
2. 4.15 총선의 특징
3. 4.15 총선승리의 요인
4. 향후 처리해야할문제
1. 4.15 총선의 본질적 성격
4.15 총선은 여야의 대결 - 친노 반노의 대결을 뛰어 넘어, 20세기 정치와 the twenty-first century 정치의 대결이었으며, 이 대결에서 the twenty-first century 정치가 승리하였다. 주체적으로 정치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이 봉쇄당해왔다. 민의의 대변자라고 하는 국회의원들이 민의에 관심을 갖는 척이라도 하는 것은 기껏해야 선거 때 뿐이었다.
20세기 한국정치는 국민대중은 없고 미국이 주인 노릇하는 정치이며, 미국의 이익을 제일로 앞세우는 정치이며, 반공반북을 외치며 민족분단과 대결을 추구하는 정치이며, 관권금권의 정치, 부패정치이며, 기득권의 이익을 옹호하는 특권정치, 지역주의 정치이다.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4 15총선에 대한 평가와 향후 project
up4[1].15총선에대한평가와향후project
4.15총선에 대한 평가와 향후 project에 대한 data(資料)입니다.
20세기의 낡은 정치는 정치방법에서도 그 특징이 나타났다. 그 결과 정당 활동과 선거에서 철저하게 소외되어 구경꾼으로 전락하거나 기껏해야 표를 얻기 위한 금권 관권의 동원 대상으로 될 뿐이었다.
4.15총선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그로인해 정치인들은 존경과 믿음의 대상이 아닌 경멸과 혐오의 대상으로 전락했다.
the twenty-first century의 정치는 20세기 낡은 정치의 이러한 부정적 유산을 청산하고 민중이 주인이 되는 새 정치를 실현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정당에는 정치의 주인이 되어야 할 국민대중은 없고 정치꾼들만 득실거릴 뿐이고, 선거는 금권관권선거로 얼룩졌으며, 그 결과 대중들은 정치인과 선거에 대한 혐오만을 키워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