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영어의 자음 대조分析과 발음 오류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4 09:02
본문
Download : 한국어와 영어의 자음 대조분석과 발음 오류.hwp
따라서 (4a, b, c)와 같은 오류가 생겨나는 것이다. 한국어와 영어의 자음 대조分析과 발음 오류에 대해 조사한 자료(data)입니다.
/f/는 (4d)에서처럼 무성·순음의 성질을 공유하는 /p/, 또는 무성 마찰음과 순음의 성질을 공유하는 〔hw〕로 대치되고 있고, /v/는 (4e)에서처럼 유성·순음의 성질을 공유하는 〔b〕로 대치되고 있따 /θ/는 (4f)에서처럼 같은 무성마찰음인 /s/로, / / 는 (4g)에서 처럼 같은 유성음으로서 폐쇄음인 〔d〕로 대치되고 있으며, (4h)와 (4i)에서 처럼 /z/와 /ʒ/는 유성 파찰음인 /j/로 대치되고 있따
이들을 잘 analysis해 보면, 한국인 …(To be continued )
한국어와 영어의 자음 대조分析과 발음 오류
순서
음성학숙제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한국어와 영어의 자음 대조분석과 발음 오류.hwp( 72 )
한국어와 영어의 자음 대조분석과 발음 오류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레포트/인문사회
.
(4)에서 본 바와 같이 우리말의 phoneme inventory에 없는 영어의 음소에 대하여 많은 사람들이 그에 가장 가까운 우리말의 음소로 대치하고 있따 영어에서의 /b, d, ɡ/는 유성음으로서 무성음인 /p, t, k/와는 의미의 차이를 가져오는 소리인 반면에, 한국어에서는 유·무성의 대립이 의미의 차이를 가져오지 않으므로 단순히 변이음으로서 존재하는 〔b〕, 〔d〕,〔ɡ〕을 그 발생環境이 아닌 곳에서 무성음인 〔p〕, 〔t〕, 〔k〕로 대체하는 것은 무의식적으로 아주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음성학숙제 , 한국어와 영어의 자음 대조분석과 발음 오류인문사회레포트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