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4 07:29본문
Download : 고구려.hwp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고구려
web-go322 , 고구려인문사회레포트 ,
web-go322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고수전쟁 및 고당전쟁 (高隋戰爭 및 高唐戰爭)
6세기와 7세기 초반의 동아시아의 국제정세를 보면, 신라 진흥왕(眞興王)이 북진정책을 취하였으며, 중원에서는 3세기 이래로 후한(後漢<東漢>, 25~220)이 멸망하고 221~589까지 16국 시대, 위진남북조(魏晋南北朝)시대를 거치며 30여개 이르는 군소국가가 명멸해 가는 동안 고구려는 수세기 동안 태평성대를 누리며 그 당시까지 600년이 넘는 歷史(역사)를 자랑하며 동아시아 최대강국으로 군림했다.
이에 고구려 영양왕(嬰陽王)은 진흥왕의 북진 정책으로 한강 유역 및 함경도 일대를 상실하자 남하정책을 포기하고 수나라의 침략에 대비하여 서진정책(西進政策)을 단행, 요서(遼西)지방을 선제공격하였다. 사서에는 “장마로 인한 질병·풍랑으로 수군(隋軍)이 대부분의 병력을 잃고 퇴각하였다” 고 기록되어 있으나 자국의 이익에 맞게 중화사상에 입각한 춘추사관(春秋…(skip)
Download : 고구려.hwp( 18 )






다.
598년(영양왕 9) 수나라 문제(文帝)는 수륙군(水陸軍) 30만으로 침입하였으나 고구려의 병마도원수 (兵馬都元帥) 강이식(姜以式) 장군은 수나라의 수군총관(水軍總官) 주라후(周羅喉)의 수군은 발해만(渤海灣)에서 섬멸시켜 보급로를 차단하고 후퇴하는 수군을 임유관(현 山海關) 전투에서 거의 전멸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