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의 변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2 07:46본문
Download : 음운의 변동_2074164.hwp
음절 말에서는…(skip)
음소들이 모여서 음절을 이루고 단어를 이루고 이들이 다시 문장을 이루어 나갈 때 음소들은 그 놓이는 자리에 따라 어떤 제약을 받기도 하고 상호간에 어떤 영향을 주고받기도 하는 음운규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음운의 변동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음운의 변동_2074164.hwp( 50 )
음운현상
설명
1. 분포의 제약
2. 중 화
3. 동 화
4. 축약과 탈락, 첨가
1. 분포의 제약
음소에 따라서는 그 놓이는 자리가 큰 제약을 받는 수가 있따 모든 음소가 아무 자리에나 자유롭게 분포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또 아무 음소와 어울리는 것도 아닌것이다 . 이는 어떤 시대에 관계없이 그 음소가 가지고 있는 음성적 특수성 때문에 일어나는 수도 있고 한 시대 한 언어의 일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따
(1) 어두 및 음절 초에서의 제약(두음법칙)
국어에는 [ŋ]으로 처음 되는 단어가 없다.
(2) 음절 말에서의 제약(7종성 법칙)
음절말 위치도 음운 분포에 몇 가지 제약을 준다. 중세국어에서는 ‘님금, 닢, 녀름’ 등의 단어에서 보듯 그러한 제약이 없었는데 현대국어에는 이들이 모두 ‘임금, 잎, 여름’으로 바뀌었다.
이처럼 국어에서는 어두에서 많은 제약을 보이는데 이러한 현상을 두음법칙이라고 한다. 음절 말에서도 자음이 하나밖에 올 수 없다는 것이 그 하나다. ‘라디오, 로케트, 레코드, 라면’ 등의 외래어에서 나타나기는 하지만, 순수 국어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다.음운현상 , 음운의 변동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음소들이 모여서 음절을 이루고 단어를 이루고 이들이 다시 문장을 이루어 나갈 때 음소들은 그 놓이는 자리에 따라 어떤 제약을 받기도 하고 상호간에 어떤 영향을 주고받기도 하는 음운규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즉 [ŋ]은 어두, 더 나아가 음절 첫머리라는 environment에는 분포될 수 없는 제약을 가지고 있따
국어에서는 ‘ㄹ’도 어두에 분포되기 어렵다.
국어는 어두에 자음을 하나밖에 허용하지 않아 두 개나 그 이상의 자음이 동시에 어두에 올 수 없다는 제약도 가지고 있따 영어에서는 spring, skin, print에서 보듯 어두에서 자음이 두 개나 세 개가 잇달아 분포될 수 있는데 우리가 이것들을 옮겨 적을 때 ‘스프링, 스킨, 프린트’처럼 애초에 없던 ‘ㅡ’를 덧붙이는 것은 바로 이러한 제약에서 연유하는 것이다. ‘ㄴ;의 어두에서의 분포에 새로운 규칙이 생긴 것이다. 또한 ‘ㄴ’도 만일 뒤에 ‘ㅣ’나 ‘ㅑ, ㅕ, ㅛ, ㅠ’ 등의 모음이 올 때는 어두에 오기 어렵다. 표기상으로는 ‘닭, 값, 흙탕물, 없다’처럼 음절 끝에 자음을 두 개 겹쳐 쓰지만 발음에 있어서는 이들은 모두 ‘닥, 갑, 흑, 업’과 같이 자음 하나밖에 허용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