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부여건국신화와 고구려건국신화의 관계 / 부여건국신화와 고구려건국신화의 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08:59본문
Download : 부여건국신화와 고구려건국신화의 관계.hwp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부여건국신화는 고구려건국신화의 일종(이본 내지 변이형)인 것처럼 여겨 왔다. 그 동안 학계에서는 이들 신화를 동일한 신화로 간주하여 왔다.





Download : 부여건국신화와 고구려건국신화의 관계.hwp( 78 )
순서
부여건국신화와 고구려건국신화의 관계 1.머리말 2.부여건국신화와 고구려...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부여건국신화와 고구려건국신화의 관계 .머리말.부여건국신화와 고구려건국신화의 전승 양상 . 부여건국신화와 고구려건국신화의 차이, 그 개별성.고구려건국신화에 나타나는 ‘동명’의 정체마무리.마무리 . 머리말 필자는 이 글에서 부여건국신화와 고구려건국신화의 관계에 대한 종래의 통설을 재검토하고자 한다. 이들 신화의 문헌기록을 introduce하고 대비해 보인 다음 이들...
인문사회 부여건국신화와 고구려건국신화의 관계 / 부여건국신화와 고구려건국신화의 관계
[인문사회] 부여건국신화와 고구려건국신화의 관계 / 부여건국신화와 고구려건국신화의 관계
부여건국신화와 고구려건국신화의 관계 1.머리말 2.부여건국신화와 고구려...
다. 부여건국신화의 개별성에 관련되어 인정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부여도 고조선, 고구려, 신라, 가락, 탐라 등과 함께 엄연히 고대국가로 존재했는데, 부여에만 건국신화가 없다는 것이 도저히 납득되지도 않거니와, 문헌기록을 살펴보면 도처에서 부여건국신화의 존재를 명백하게 증거하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진즉부터 이 문제를 거론하여 몇 편의 논문2)을 발표한 바가 있다아 근래에는 이 문제가 학계의 쟁점임을 연구사 검토3)를 통해 드러내 보이기도 하였다. 그런 가운데에서도 최근들어 남북한 모두에 획기적인 change(변화)의 조짐이 일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된다.1) 하지만, 필자는 이에 대해 의견을 달리하고 있다아 두 신화를 별개의 신화로 보아야 마땅하다는 것이 필자의 소견이다. 그러다 보니, 국사·국문학 관계의 교과서와 개론·통사류에서는 고구려건국신화에 관련되어만 언급할 뿐 부여건국신화에 관련되어는 일체 언급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남한에서는 민간에서 낸 통사4)에서, 북한에서는 관변측 통사5)에서 각기 부여건국신화를 고구려건국신화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신화로 인정하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필자는 근래의 이같은 고무적인 change(변화)에 힘입어, 이 자리를 빌어 다시금 이 문제에 관한 평소의 견해를 피력하고자 한다. 하지만, 필자와 여타 학자들의 거듭된 주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학계의 公式 적인 태도에는 change(변화)가 없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