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미술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03 20:01
본문
Download : .hwp
근대의 한국미술은 서구적 근대주의에 기초를 두고 새로운 變化를 시도했으나 작가들의 역사(歷史)의식 빈곤과 대중적 기반의 취약 등으로 인해 전통성이 단절되고 서양의 미술사조와 조형개념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대한 문제의식이 1980년대를 전후해서 폭넓게 제기되면서 한국의 미술의 전통성과 주체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기반으로 세계미술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아
한국미술전집 전15권 : 동화출판공사 편·발행, 1973
다.
한국미의 탐구 : 김원룡, 열화당, 1978
1. 개요
우리의 미술과 공예 : 고유섭, 열화당, 1977
한국고미술의 이해 : 김원룡,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0
우리나라의미술사 시대별미술사 미술 / 한국미술사 : 김원룡·안휘준 공저,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3
2. 선사시대
한국근대미술연구 : 이경성, 동화출판공사, 1975
설명
한국미술사전 : 대한민국예술원 편·발행, 1985
한국미술사연구 : 김원룡, 일지사, 1987
6. 개항이후
우리나라의미술사 시대별미술사 미술 / 한국미술사 : 김원룡·안휘준 공저,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3 근대한국미술논총 : 청여 이구열 선생 회갑기념논문집간행위원회 편, 학고재, 1992 심포지엄 한국미술사의 현황(한림과학원 총서 7) : 예경산업사, 1992 근대한국미술사의 연구 : 이구열, 미진사, 1992 북한의 문화유산 전2권 : 정재훈·이융조 외, 고려원, 1990 한국미술의 미의식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고려원, 1989 조선과 예술 : 柳宗悅, 박재삼 역, 범우사, 1989 한국미술사연구 : 김원룡, 일지사, 1987 한국의 미 전24권 : 중앙일보 계간미술 편·발행, 1985 국보 전12권 : 예경산업사 편·발행, 1985 한국미술사 : 대한민국예술원 편·발행, 1984 한국고미술의 이해 : 김원룡,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0 한국현대미술사 : 오광수, 열화당, 1979 한국미의 탐구 : 김원룡, 열화당, 1978 근대한국미술의 전개 : 이구열, 열화당, 1977 우리의 미술과 공예 : 고유섭, 열화당, 1977 한국미술5천년 : 국립중앙박물관 편·발행, 1976 한국근대미술연구 : 이경성, 동화출판공사, 1975 한국미술전집 전15권 : 동화출판공사 편·발행, 1973 한국미술사전 : 대한민국예술원 편·발행, 1985 ()
3. 삼국시대
우리나라의 미술사
한국의 미 전24권 : 중앙일보 계간미술 편·발행, 1985
한국현대미술사 : 오광수, 열화당, 1979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조선과 예술 : 柳宗悅, 박재삼 역, 범우사, 1989
7. 참고한 문헌 개항 이후
근대한국미술의 전개 : 이구열, 열화당, 1977
Download : .hwp( 14 )
5. 조선시대
()
북한의 culture유산 전2권 : 정재훈·이융조 외, 고려원, 1990
한국미술사 : 대한민국예술원 편·발행, 1984
순서
근대한국미술사의 연구 : 이구열, 미진사, 1992
심포지엄 한국미술사의 상황(한림과학원 총서 7) : 예경산업사, 1992
한국미술5천년 : 국립중앙박물관 편·발행, 1976
한국미술의 미의식 : 한국정신culture연구원 편, 고려원, 1989
우리나라의미술사 시대별미술사 미술
4. 고려시대
국보 전12권 : 예경산업사 편·발행, 1985
근대한국미술논총 : 청여 이구열 선생 회갑기념논문집간행위원회 편, 학고재, 1992
19세기를 통해 중세적인 남종문인화풍이 보다 큰 세력을 누리게 되면서 주체적 근대 이행은 좌절되고 1876년의 개항과 1910년부터 일제 식민통치에 의해 타율적으로 근대화가 진행되기 시작했다.